GPT로 챕터별 글 생성하는 실전 예시
전자책을 GPT로 쓰려는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은 바로 “실제로 챕터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입니다. 이 글에서는 하나의 챕터를 어떻게 GPT에게 요청하고 생성하는지 단계별로 예시와 함께 안내합니다.
STEP 1. 챕터 제목과 구조 먼저 정하기
예시로 사용할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간관리 습관으로 인생을 바꾸는 법』 1장: “시간은 자산이다”
챕터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① 서론: 독자에게 공감 주기
- ② 본문: 핵심 소주제 3개 (예시, 인사이트 포함)
- ③ 결론: 요약 및 다음 챕터 연결
STEP 2. GPT에게 프롬프트 입력하기
아래는 GPT에게 입력할 수 있는 프롬프트 예시입니다:
“‘시간은 자산이다’라는 챕터를 작성하고 싶어. 전자책 독자를 위한 글이야. 다음 구성으로 써줘: 1. 서론 - 시간의 가치에 대한 문제 제기 (300자) 2. 본문 - 다음 3가지 소주제로 설명 1) 시간의 경제학 2) 시간 낭비의 심리 3) 시간의 복리 효과 3. 결론 - 행동 유도와 요약 포함 (300자)”
이렇게 명확한 구조와 길이를 제시하면, GPT는 매우 완성도 높은 초안을 제공합니다.
STEP 3. GPT 출력 결과 예시
GPT가 작성한 예시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론
많은 사람들이 돈을 아끼기 위해 노력하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자원인 '시간'에는 무관심합니다. 하루 24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지만, 그 사용 방식은 천차만별입니다. 이 장에서는 시간의 본질과 우리가 왜 시간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합니다.
소주제 1. 시간의 경제학
시간은 자산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은 곧 기회비용이 따릅니다. 예를 들어, 한 시간을 넷플릭스를 보며 보내는 동안, 독서나 건강을 위한 투자 기회를 잃게 됩니다.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기 때문에 모든 선택은 '투자'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합니다.
소주제 2. 시간 낭비의 심리
우리는 종종 "조금만 더"라는 생각으로 스마트폰을 집어 듭니다. 이는 '현재의 쾌락'을 좇는 심리 때문입니다. 시간 낭비를 막기 위해선 자신이 왜 그런 선택을 반복하는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주제 3. 시간의 복리 효과
매일 30분씩 자기계발에 투자하면, 1년 뒤엔 182시간이 쌓입니다. 이는 완전히 새로운 기술 하나를 익힐 수 있는 시간입니다. 시간은 복리로 작용하며, 작은 습관이 장기적 성과를 만듭니다.
결론
시간은 단순한 흐름이 아닌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자산입니다. 이 장에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내일 아침 30분을 자신을 위한 시간으로 설정해 보세요. 다음 장에서는 효과적인 아침 루틴을 만드는 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STEP 4. 글 다듬기와 스타일 조정
GPT가 생성한 글은 70~80% 완성된 초안입니다. 다음의 과정을 통해 퀄리티를 높일 수 있습니다:
- ✔ 용어 선택을 독자 수준에 맞게 바꾸기
- ✔ 중복 문장 정리
- ✔ 개인 경험이나 사례 삽입 (신뢰도 증가)
- ✔ 챕터 간 연결 문장 추가
마무리: GPT는 초안을 만드는 '기계 작가'
GPT를 활용하면 단시간에 수천 자 분량의 챕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이 초안을 어떻게 가공하느냐입니다.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콘텐츠는 결국 사람의 손을 거쳐 탄생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AI 이미지로 책 표지 및 삽화 만들기 (DALL·E 활용법)”을 소개합니다.